목록Computer (144)
안드로이드 개발자의 창고
출처 : 안드로이드 앱스쿨 2기 윤재성 강사님 수업 PPT 📖 Literal(리터럴) 코드 작성시 값을 작성하는 문법 정수 : 100, 100L, 1_000_000 실수 : 11.11, 22.22F 문자 : ‘A’, ‘B’ 문자열 : “문자열” 불리언 : true, false Raw string : “””문자열””” Nothing : 함수가 정상적으로 끝나지 않는다를 의미 Unit : void를 의미한다. 📖 예제 코드 fun main() { // 정수 리터럴 println(100) // 4byte 기억 공간에 담을 만큼의 값이면 뒤에 L을 안붙이고 범위를 넘어가면 자동으로 L을 붙여준다. println(10000000000) println(938_492_934_823) // _ 가 빠져 저장됨 // 실..
출처 : 안드로이드 앱스쿨 2기 윤재성 강사님 수업 PPT 📖 주석 // : 한 줄 주석 /* ... */ : 여러 줄 주석 📖 출력문 print() : 값을 출력하고 밑으로 내리지 않는다. println() : 값을 출력하고 밑으로 내린다. 값을 같이 출력할 때는 ${값}을 사용한다. 코틀린에는 printf가 없다. 📖 세미콜론 코틀린에서 명령문 마지막의 세미콜론( ; )은 선택사항이다. 한 줄에 여러 명령문을 작성할 때는 세미콜론을 붙여줘야 한다. 📖 예제 코드 fun main() { // Kotlin에서 주석을 사용하면 // Java 코드로 만들어 질 때 빠진다. // 한 줄 주석입니다 /* 여러 줄 주석 입니다 */ // 기본 출력 // 출력후 밑으로 내려준다. println("문자열 입니다") ..
출처 : 안드로이드 앱스쿨 2기 윤재성 강사님 수업 PPT 📖 Network란? 원격지의 컴퓨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네트워크라고 부른다. 자바에서는 서버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는 도구들과 클라이언트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는 도구들을 제공한다. 제공되는 도구들을 이용해 입출력 스트림을 추출하고 추출한 스트림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면 된다. 📖 반드시 알아야 할 용어 서버 :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클라이언트가 요구하는 데이터를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클라이언트 : 서비스를 받는 프로그램이다. 서버가 보낸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해주는 역할을 한다. IP : 컴퓨터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주소이다. 전 세계 의 컴퓨터는 전부 아이피 주소를 가지고..
출처 : 안드로이드 앱스쿨 2기 윤재성 강사님 수업 PPT 📖 ObjectStream이란? 메모리상에 존재하는 객체를 송수신 할 수 있는 필터 스트림이다. 필터 스트림이므로 기본 스트림이 필요하다. 자바 프로그램 간에만 가능하다. 📖 직렬화란? 메모리 상에 존재하는(메모리에 나눠져 관리되고 있는) 객체를 출력할 수 있는 형태(바이트 배열 형태)로 만드는 것을 가르켜 직렬화 라고 부른다. 직렬화 하지 않은 객체를 스트림을 통해 입출력할 수 없다. 자바에서는 직렬화하기 위해 Serializable 이라는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면 된다. 📖 예제 전체 코드 import java.io.FileInputStream; import java.io.FileOutputStream; import java.io.ObjectIn..
출처 : 안드로이드 앱스쿨 2기 윤재성 강사님 수업 PPT 📖 2ByteStream이란? 자바는 글자 하나를 2 byte를 사용하기 때문에 문자열 입출력 전용으로 사용하는 스트림들을 2byte stream이라고 부른다. 라인 단위 입출력이 가능하고 문자열 인코딩 설정이 가능하다. 2 바이트 입출력 스트림을 이용하면 키보드를 통해 입력을 받거나 콘솔로 송출할 때 편하게 할 수 있다. 사용해야하는 필터 스트림이 좀 많은 편이긴 하지만 데이터를 라인 단위로 입출력할 수 있다는 편리성을 가지고 있어서 많이 사용한다. 📖 예제 전체 코드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BufferedWriter; import java.io.FileInputStream; impor..
출처 : 안드로이드 앱스쿨 2기 윤재성 강사님 수업 PPT 📖 DataStream이란? 기본 자료형 값을 byte 배열 형태로 변환해주는 역할을 하는 필터 스트림이다. 기본 스트림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하기 위해서는 바이트 형태의 데이터로 송수신을 하게된다. 개발자가 직접 송수신할 데이터를 바이트화 시키거나 바이트화 되어 있는 데이터를 사용하고자 하는 형태로 변환해야 하는데 이 작업을 해주는 스트림이다. 데이터 송수신 메서드 readXXX : read 메서드가 굉장히 많이 존재하는데 각 타입별로 존재하고 있다. 정수형일 경우 readInt를 사용하면 바이트로 넘어온 데이터를 정수형으로 변환하여 되돌려준다. writeXXX :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바이트 형태로 변환하여 기본 스트림에게 넘겨준다. 정..
출처 : 안드로이드 앱스쿨 2기 윤재성 강사님 수업 PPT 📖 FileStream이란? stream : 데이터를 외부와 읽고 쓸 수 있도록 제공되는 자바 클래스들 기본스트림 데이터를 직접 읽고 쓸 수 있는 스트림들 InputStream과 OutputStream을 상속받고 있다. 필터스트림 기본 스트림들의 보조 역할을 하며 주 목적이 데이터를 가공하는 것이다. 기본 스트림외에 다른 기능을 추가 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스트림이다. 필터 스트림을 독립적으로 사용하지 못하고 기본 스트림과의 연결이 반드시 필요하다. 필터 스트림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기능이 없다. 필터 스트림에 있는 입출력 함수는 직접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것이 아니라 연결되어 있는 기본 스트림에 데이터를 전송하고 기본 스트림에서 데이터 송..
출처 : 안드로이드 앱스쿨 2기 윤재성 강사님 수업 PPT 📖 Collection이란? 객체들을 모아 관리하는 요소들 Generic type Collection들은 Generic type 이라는 것을 설정할 수 있다. Generic type은 Collection이 관리할 객체의 타입을 지정하는 것으로써 객체를 추출할 때 형변환을 자동으로 해준다. List : 순서를 통해 관리한다. Map : 이름을 통해 관리한다. Set : 집합(중복된 객체를 담을 수 없고, 순서와 이름에 대한 개념이 없다.) 📖 List 예제 코드 import java.util.ArrayList; public class MainClass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ArrayList l..
출처 : 안드로이드 앱스쿨 2기 윤재성 강사님 수업 PPT 📖 Date와 Calendar? Date : 컴퓨터 입장에서의 시간 관리 java.util.Date를 import 해야 한다. Calendar : 사람 입장에서의 시간 관리 java.util.Calendar를 import 해야 한다. import java.util.Calendar; import java.util.Date; public class MainClass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현재 시간을 관리하는 Date 객체를 생성한다. Date date1 = new Date(); System.out.println(date1); // date 객체가 관리하는 시간 값을 유닉스 타임으로 가져온다..
출처 : 안드로이드 앱스쿨 2기 윤재성 강사님 수업 PPT 📖 StringBuffer란? StringBuffer : 관리하는 문자열에 대한 직접적인 조작을 할 수 있다.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자주 변화되는 문자열은 StringBuffer로 관리한다. String이 관리하는 문자열은 변경이 불가능하다. 이에, 추가 / 반환 / 삭제 등의 작업을 하게 되면 새로운 문자열이 계속 생성된다. 📖 예제 코드 public class MainClass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StringBuffer 생성 StringBuffer buffer1 = new StringBuffer(); StringBuffer buffer2 = new StringBuf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