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Computer (144)
안드로이드 개발자의 창고
출처 : 안드로이드 앱스쿨 2기 윤재성 강사님 수업 PPT 📖 캡슐화란? 객체가 가지고 있는 변수는 메서드에 구현한 코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위한 데이터를 담고 있다. 만약 변수에 엉뚱한 데이터가 담긴다면 구현한 코드가 정상적으로 동작한다고 하더라도 정상적인 결과가 나올 수 없게 된다. 이에 변수의 직접적인 접근을 차단하여 외부에서 값을 변경하지 못하도록 막는 것을 캡슐화라고 부른다. 📖 Property란? 캡슐화가 적용된 변수는 외부에서의 접근이 차단된다. 캡슐화가 적용된 변수에 대해 메서드를 통해 값을 설정하거나 가져다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Property 라고 부른다. 변수에 값을 넣는 메서드를 setter라고 부른다. 변수가 가지고 있는 값을 반환하는 메서드를 getter라고 부른다. ..
출처 : 안드로이드 앱스쿨 2기 윤재성 강사님 수업 PPT 📖 접근제한자란? 객체가 가지고 있는 변수는 연산자를 통해 자유롭게 접근이 가능하다. 만약 변수에 담기는 값이 어떠한 조건이 있을 경우 외부에서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다면 엉뚱한 값이 저장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변수나 메서드의 접근 권한을 설정할 수 있는 접근 제한자를 제공하고 있으며 클래스를 설계하는 개발자가 각 변수나 메서드의 접근 권한을 설정해 오동작 하는 것을 사전에 막을 수 있게 한다. 동작원리 Kotlin에서는 클래스의 정의한 모든 변수는 Java코드로 변경될 때 private가 설정된다. 접근 제한자의 종류에 따라 Java 코드로 변경될 때 getter 메서드 추가 여부가 결정된다. 📖 클래스의 접근제한자 private : 외부에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92ZWd/btsf2IXZYZ6/H3gDJswLxXwMOP5ThGlD91/img.png)
출처 : 안드로이드 앱스쿨 2기 윤재성 강사님 수업 PPT 📖 패키지(Package)란? Kotlin에서 kt 파일들을 폴더 별로 나누어 관리하는 개념을 패키지라고 부른다. 패키지는 폴더로 구분하면 된다. 패키지 내에 있는 파일들은 상단에 패키지를 명시해야 한다. 패키지 내에 있는 클래스 등을 사용할 때는 반드시 패키명을 명시해야 한다. import를 사용해 패키지를 명시하면 코드 내에서 패키지 명을 생략할 수 있다. 📖 예제 코드 파일 경로 com.test.pkg1의 TestClass1.kt package com.test.pkg1 class TestClass1 { fun TestMethod1(){ println("TestClass1의 TestMethod1 입니다") } } fun testFunction..
출처 : 안드로이드 앱스쿨 2기 윤재성 강사님 수업 PPT 📖 상속이란? 클래스를 설계할 때 다른 클래스가 가지고 있는 부분을 물려 받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클래스마다 중복된 부분을 클래스 한 곳에 만들 수 있다. 상속을 하는 클래스를 부모 클래스(SuperClass)라고 하며 상속을 받는 클래스를 자식 클래스(SubClass)라고 한다. 부모 클래스는 open 키워드를 사용해야 한다. open 키워드를 사용하지 않으면 자바 코드로 변경될 때 final 키워드가 붙는다. 📖 예제 코드 open class SuperClass{ var superMember1 = 100 constructor(){ println("SuperClass의 기본 생성자") } fun superMethod1(){ println..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0ugHD/btsfeBFprOQ/yJzWwmF5vLSLs3rqyAME11/img.png)
출처 : 안드로이드 앱스쿨 2기 윤재성 강사님 수업 PPT 📖 init Kotlin은 클래스에 init 코드 블록을 만들어 주면 객체 생성시 자동으로 동작하는 코드를 만들 수 있다. 매개 변수를 정의할 수 없기 때문에 생성자는 아니다. 📖 예제 코드 fun main() { var t1 = TestClass1() println("t1 : $t1") } class TestClass1{ init{ println("TestClass1의 init 코드 블럭") println("객체가 생성되면 자동으로 동작하는 부분입니다") } } ✔️ 코드 해석 init 코드 블록은 객체가 생성되면 자동으로 실행된다. 따라서 init의 코드들이 먼저 실행되어 "TestClass1의 init 코드 블럭", "객체가 생성되면 자동으..
출처 : 안드로이드 앱스쿨 2기 윤재성 강사님 수업 PPT 📖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이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이란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여러 데이터나 기능을 객체로 묶어서 관리하는 프로그래밍 기법이다. 객체는 매개체 하나에 대한 정보와 기능을 담고 있는 프로그램 요소이다. 📖 객체의 특징 매개체 하나의 정보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객체 하나가 필요하며 관리하고자 하는 매개체의 수만큼 객체를 생성해야 한다. 객체는 독립적으로 관리되며 서로에 대해 관여하지 않는다. 📖 클래스 Kotlin에서 객체는 자바와 동일하게 클래스를 설계하고 이를 통해 생성한다. 클래스에 정의한 변수와 메서드(함수)의 구조대로 객체가 생성되며 같은 형태의 객체가 필요하다면 같은 클래스로 객체들을 생성하면 된다. 📖 예졔 코드 fun mai..
출처 : 안드로이드 앱스쿨 2기 윤재성 강사님 수업 PPT 📖 반복문(Loop) 코드 일부분을 원하는 만큼 반복 시키고자 할 때 사용한다. for, while, do~while 문을 제공한다. 📖 for문 배열과 같이 값들을 관리하는 요소들을 이용해 코드를 반복하는 반목문 관리하는 값의 개수 만큼 반복한다. 반복할 때 마다 반복 회차에 해당하는 값을 in 좌측 변수에 담아준다. 이때, 변수는 타입을 정하지 않아도 된다. 📖 for문 기본 형식 for (변수 in 배열) { 코드 } 📖 예제 코드 fun main() { for(item1 in 1..10){ println("item1 : $item1") } println("-------------------------------") // 2씩 증가 시키는 ..
출처 : 안드로이드 앱스쿨 2기 윤재성 강사님 수업 PPT 📖 when이란? when은 Java에서의 switch case와 비슷하다. 수식이나 값의 결과에 따라 수행될 부분을 결정하게 되며 자바와 다르게 정수 뿐만 아니라 다양한 타입의 값을 비교할 수 있다. 📖 when 기본 형식 when (변수 or 수식) { 값1 -> 코드 값2 -> 코드 } 📖 예제 코드 fun main() { val a1 = 10 when(a1){ 1 -> println("a1은 1입니다") // 수행될 코드가 한줄만 있다면 { }를 생략한다. 5 -> {// 수행할 코드가 두 줄 이상이면 { }로 묶어준다. println("a1은 5입니다") println("코드가 두 줄") println("코드가 세 줄") } 10 -> ..
출처 : 안드로이드 앱스쿨 2기 윤재성 강사님 수업 PPT 📖 제어문이란? 프로그램 코드는 위에서 아래로 흘러간다. 이 흐름을 변경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것이 제어문이다. 제어문은 분기문과 반복문으로 구분된다. if문 : 주어진 조건에 따라 작성된 코드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구문. 📖 제어문 기본 형식 if (조건식){ 코드 } else if (조건식){ 코드 } else { 코드 } 📖 예제 코드 fun main() { val a1:Int = 10; var a3:String = "" if(a1 == 10){ var a2:String = "" a2 += "안녕하세요 " a2 += "반갑습니다" a3 = a2 } else { var a2:String = "" a2 += "감사합니다 " a2 += "또 만났..
출처 : 안드로이드 앱스쿨 2기 윤재성 강사님 수업 PPT 📖 함수란? 코드를 미리 작성해 놓고 필요할 때 불러 다 쓰는 개념 Java에서는 클래스에 메서드를 만들어 사용하지만 Kotlin은 C 언어처럼 함수라는 개념을 제공하고 있다. Java 코드로 변환되면 파일_이름 클래스 내부의 static 메서드로 정의된다. 📖 코틀린 함수 기본 문법 fun 함수명(매개변수) : 반환값 타입 { 코드들.. } 📖 예제 코드 fun main() { // 함수 호출 test1() } // 함수 밖에 선언된 변수는 파일_이름 클래스의 static 변수로 정의된다. var a1:Int = 100 fun test1() { println("test1 호출") // 함수 밖에서 선언된 변수 사용 println("a1 :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