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로이드 개발자의 창고
[6일차 Java] 접근 제한자 본문
출처 : 안드로이드 앱스쿨 2기 윤재성 강사님 수업 PPT
접근제한자란?
- 클래스에 선언한 변수나 메서드를 접근하지 못하도록 막아야 할 경우에 사용한다.
- 이는 캡슐화와도 관련이 있는 개념이다.
접근 제한자 사용 가능 여부
사용 가능한 접근 제한자 = O
사용 불가능한 접근 제한자 = X
|
public
|
protected
|
default
|
private
|
클래스
|
O
|
X
|
O
|
X
|
생성자
|
O
|
O
|
O
|
O
|
멤버 변수
|
O
|
O
|
O
|
O
|
멤버 메서드
|
O
|
O
|
O
|
O
|
지역 변수
|
X
|
X
|
X
|
X
|
- public : 아무 제약없이 자유롭게 접근이 가능
- protected : 패키지가 같으면 제한이 없고, 패키지가 다를 경우 상속 관계에서만 접근이 가능
- default : 같은 패키지 내의 클래스만 접근 가능
- private : 클래스 내에서만 사용 가능
클래스의 접근 제한자
- 클래스의 접근 제한자는 저장하는 파일의 파일명을 결정하는데 사용한다.
- 하나의 자바 파일에 여러 개의 클래스를 만들 경우 파일 명으로 사용하는 이름은 public 이 있는 클래스의 이름이며 public 은 오로지 하나의 클래스에만 붙일 수 있다.
- 때문에 한 파일 당 한 개의 클래스로 관리하는 것이 좋다.
'Computer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7일차 Java] Static (0) | 2023.05.06 |
---|---|
[6일차 Java] 캡슐화 (0) | 2023.05.05 |
[6일차 Java] 오버라이딩(Overriding) (0) | 2023.05.05 |
[5일차 Java] 배열을 이용한 객체의 생성/오버로딩(Overloading)/가변형 매개변수/상속/다형성 (0) | 2023.05.05 |
[4일차 Java] 객체 생성 및 소멸/가비지 컬렉션(Garbage Collection) (0) | 2023.05.05 |